뉴스룸 마치고 이어지는 '디지털 뒤풀이'… 대선주자도 함께
중앙사보 2017.02.23

뉴스룸 시청자들 대부분 온라인 유입
방송서 다 못한 얘기 소셜로 연결
9일 안철수 편 최대 6000명 접속

 

JTBC 뉴스룸이 끝나는 오후 9시25분. “내일도 저희는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는 손석희 앵커의 인사에 이어 엔딩곡이 흐른다. 갑자기 화면엔 빨간(정치부 소셜 스토리 상징색), 혹은 파란(사회부 소셜 스토리 상징색) 큐브가 등장한다. 큐브를 든 기자는 엔딩 타이틀과 함께 방송 화면에선 곧 사라지지만 다른 플랫폼인 페이스북과 유튜브에서는 방금 인사한 손 앵커와 반갑게 재회한다.

 

 “소셜라이브 시간이 돌아왔군요.”(손석희 앵커)
 “손 선배 안녕하세요. 다 하지 못한 얘기가 있어서요.”(기자)
 

 방송 뒤에 시작하는 라이브는 ‘뉴스 뒤풀이’다. 뉴스룸의 가치, 즉 ‘팩트의 엄중함’이라는 기조는 그대로 이어받지만 ‘손 선배’라는 호칭 변화가 보여주듯 기자 개인의 특성과 편안한 진행을 강조한다.
 소셜라이브는 지난해 11월 1일 사회부 소셜스토리를 통해 시작됐다. 뉴스룸을 구심점으로 ‘미리 보는 뉴스룸 라이브→JTBC 뉴스룸→소셜라이브→소셜라이브 하이라이트’에 이르는 ‘연결 편성’의 개념을 도입했다. JTBC의 충성도 높은 유저들은 소셜과 방송을 ‘연결된 하나의 뉴스’로 이해하기 시작했다. 
 

 소셜라이브의 위상이 방송과 거의 대등하게 인식되는 건 JTBC만의 특권이다. 저녁 시간 뉴스룸의 온라인 시청자 수는 지상파의 5배 수준인 200만 명에 이른다. 그들 대부분은 모바일을 통해 뉴스를 시청한다. 굳이 TV를 끄고 페이스북에 접속할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
 그래서 이런 평가가 나온다. “다른 파편적 실험들과 달리 소셜라이브는 뉴스룸이 구축했던 장점들을 고스란히 구심점으로 삼는 선택을 했다. 이렇게 뉴스는 새 환경에 한 걸음 더 적응하게 됐다.”(김낙호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 교수)
 지난해 ‘최순실 태블릿PC 특종 보도’는 소셜라이브의 강력한 엔진이 됐다. ‘깊게 취재한 기자’ 그 자체가 콘텐트였다. 파쇄된 환자 명부가 들어 있던 쓰레기봉투, ‘덴마크 정유라 추적 루트’ 같은 이야기가 싱싱한 원재료였다. 기자의 자발성은 화수분처럼 소셜라이브를 풍성하게 했다. 동시접속자 수 4000~8000명, 도달수 100만 이상의 결과물은 든든한 힘이다.
 

 JTBC 디지털뉴스룸은 이런 성공을 바탕으로 정치1부(전진배 부장)와 함께 새로운 채널을 하나 더 만들었다. 사회2부(김준술 부장)의 소셜스토리에 이어 2월 6일 출범한 정치부 소셜스토리가 그것이다.
마침 보도국은 대선주자 릴레이 대담을 시작했고, 소셜라이브는 뉴스룸 인터뷰를 끝낸 대선주자를 큐브 앞에 앉히는 계획을 세웠다.
 그 첫 순서가 지난 9일 ‘안철수 소셜라이브’였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를 담당하는 마크맨 기자들이 손 앵커의 바통을 이어받아 대선주자를 다시 스튜디오에 앉힌 뒤 또 다른 라이브를 진행했다. 방송 내내 동시접속자 수 5500명 수준을 유지했다. 최대 접속자 수는 6000명을 넘었다. 유튜브 생방송도 함께 이뤄진 걸 감안하면 시청자 수는 훨씬 많았을 것이다. 16일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 20일 안희정 충남지사 편 모두 성공적이었다. 23일과 27일에는 각각 이재명 성남시장,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편이 잡혀 있다.
 

 소셜라이브는 협업의 산물이기도 하다. 보도국과 디지털을 잇는 링크(취재기자)와 영상취재기자·디자이너 등이 밀도 있게 움직여 힘을 모은 결과물이다. 최근 HD(고화질) 수준으로 영상의 질이 높아진 건 송영국 JTBC미디어텍 대표의 도움 덕분이었다. 소셜라이브는 또한 손석희 보도담당 사장의 지휘와 오병상 편집인 겸 보도총괄의 기획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수십 년간 대부분의 방송 뉴스는 미리 만든 리포트를 틀어주는 녹화방송이었다. 이런 관행을 바꿔 생방송 출연과 중계를 과감히 전면에 내세운 게 JTBC 뉴스룸이다. 방송 사고의 위험은 그만큼 높아져 제작진에겐 부담이 아닐 수 없었지만 시청자는 생생한 현장감과 깊이 있는 분석에 시선을 떼지 못한다.
라이브는 또한 디지털 시대에 맞는 최적의 형식이다. 페이스북ㆍ유튜브ㆍ네이버ㆍ카카오 모두 라이브에 집중하는 요즘 흐름을 보면 알 수 있다. 라이브는 그 자체로 JTBC 뉴스의 브랜드이자 새로운 가능성이다. 다가오는 대선 국면에서 JTBC는 소셜라이브를 통해 이러한 가능성을 더욱 선도적으로 개척해 나갈 것이다. 
강인식 기자·JTBC 디지털뉴스룸

강인식 기자
첨부파일
이어서 읽기 좋은 콘텐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