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 해지 4년 만에 공식 재개
속보 부담 줄여 콘텐트 질 집중
중앙일보ㆍJTBC 등 이용 가능
중앙미디어네트워크(JMnet)와 연합뉴스 간 콘텐트 전재(轉載) 계약 협상이 5월 29일 최종 타결됐다. 이로써 5월 16일부터 시범 서비스 중인 연합뉴스 콘텐트 전재 계약은 최종 서명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정식 발효된다. 2013년 2월 연합뉴스 콘텐트 전재 계약을 해지한 지 4년 만의 공식 재개다.
연합뉴스 콘텐트 활용은 중앙일보의 ‘디지털 대전환’ 추진 과정에서 필요성이 제기됐다. 연합뉴스 콘텐트를 활용함으로써 디지털 혁신 드라이브를 좀 더 가속화하자는 취지에서다. 뉴스룸혁신추진단장인 오병상 편집인은 “연합뉴스가 공급하는 기사는 물론 사진ㆍ그래픽 등을 디지털 콘텐트 파티클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 리소스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속보 생산 부담이 줄어드는 만큼 앞으로 인테이크(Intake) 취재부서는 인사이트 있는 디지털 콘텐트 생산과 차별화된 킬러 콘텐트 발굴에 역량을 집중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등 미디어 계열사 구성원들도 “디지털 혁신 과정에서 또 하나의 모멘텀이 마련됐다”고 환영하는 분위기다.
연합뉴스 콘텐트 전재를 재개하기까지의 과정이 쉽지는 않았다. 2013년 연합뉴스 전재를 중단한 이후 계약 사항 일부를 회복하기 위한 논의가 그동안 몇 차례 있었지만 JMnet과 연합뉴스 간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진전을 보지 못했다. 연합뉴스는 지난 3월 전재료 조건을 일부 양보한 수정안을 제시했지만 핵심 쟁점의 이견은 여전한 상태였다.
논의가 급물살을 탄 것은 지난 3월 28일 ‘디지털 혁신 설명회’ 이후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인력과 조직의 재배치 등 ‘일하는 방식의 과감한 변화’가 화두가 되면서 연합뉴스 콘텐트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가 급진전됐다.
협상 실무를 맡은 본사 커뮤니케이션&브랜드팀은 JMnet 미디어 계열사를 대상으로 연합뉴스 콘텐트 전재 동의 여부와 전재료 적정 가격대에 대한 의견 수렴에 나섰다. 전재에 부정적인 의견도 없지 않았다. “EYE24팀의 속보 생산 기능을 좀 더 보강하면 굳이 통신사 기사 공급을 받을 필요는 없다”는 주장 등이었다. 이렇게 다양하게 제시된 내부 의견들을 토대로 커뮤니케이션&브랜드팀은 연합뉴스 계약 실무진과 몇 차례 대면 접촉을 벌였다. 양측의 치열한 줄다리기 끝에 지난 5월 초 전재료 잠정 합의안이 도출됐고, 이를 토대로 5월 16일부터 연합뉴스 콘텐트의 시범 공급이 시작됐다.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었다. 최종 계약서에 적시될 문구 몇 가지가 다시 쟁점으로 부각되면서 막판 진통이 거듭됐다. 본사 법무담당 부서의 꼼꼼한 법리 검토에 이어 미디어 계열사 유관 부서 연석회의 끝에 JMnet의 계약서 최종 문안이 윤곽을 드러냈다. 이후 연합뉴스 측과의 막판 협상을 거쳐 5월 29일 계약서 최종 절충안이 마련된 것이다.
현재 중앙일보와 중앙SUNDAY·일간스포츠·미주 중앙일보 등의 소속 기자들은 연합뉴스 프리미엄 사이트 접속 권한이 있는 계정을 부여받아 콘텐트를 이용할 수 있다. 중앙일보 디지털기획팀 이승철 차장은 “JAM(Joongang Asset Management)을 통한 콘텐트 공급은 기술 개발 및 테스트 과정을 거쳐 늦어도 6월 셋째주부터는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JTBC 기자들은 연합뉴스 프리미엄 사이트 접속은 물론 이번 주부터 보도단말시스템을 통한 콘텐트 이용도 가능한 상태다. 김형구 기자ㆍ커뮤니케이션&브랜드팀